근육&뼈&관절

사각근(Scalene)

luckysling 2025. 3. 19. 11:40

사각근(Scalene muscles)

사각근은 목의 앞쪽과

옆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전사각근(Anterior scalene),

중사각근(Middle scalene),

후사각근(Posterior scalene)

세 가지로 구성된다.

이 근육들은 목의 움직임과

호흡 보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isible body 해부학 캡처 - 전사각근 기시,정지

1. 전사각근 (Anterior Scalene)

1) 기시(Origin)

제3~제6경추(C3-C6)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

2) 정지(Insertion)

제1늑골(첫 번째 갈비뼈, first rib)의 상부

3) 기능(Function)

경추의 측굴

(Lateral flexion of cervical spine):

한쪽만 작용하면 같은 방향으로 목을 기울인다.

경추의 전굴

(Flexion of cervical spine):

양쪽이 동시에 작용하면 목을 앞으로 구부린다.

늑골 거상

(Elevation of the first rib):

호흡 시 보조적으로 첫 번째 갈비뼈를 들어 올려 흡기를 돕는다.


visible body 해부학 캡처 - 중사각근 기시,정지

2. 중사각근 (Middle Scalene)

1) 기시(Origin)

제2~제7경추(C2-C7)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

2) 정지(Insertion)

제1늑골(first rib)의 상부,

전사각근보다 뒤쪽

3) 기능(Function)

경추의 측굴

(Lateral flexion of cervical spine):

한쪽이 작용하면 같은 방향으로 기울인다.

늑골 거상

(Elevation of the first rib):

흡기 시 첫 번째 갈비뼈를 들어 올려

호흡을 보조한다.

 

visible body 해부학 캡처 - 후사각근 기시,정지

 

3. 후사각근 (Posterior Scalene)

1) 기시(Origin)

제4~제6경추(C4-C6)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

2) 정지(Insertion)

제2늑골(second rib)의 상부

3) 기능(Function)

경추의 측굴

(Lateral flexion of cervical spine):

한쪽이 수축하면 같은

방향으로 목을 기울인다.

늑골 거상

(Elevation of the second rib):

흡기 시 두 번째 갈비뼈를

들어 올려 호흡을 돕는다.


4. 추가적인 기능 및

임상적 중요성

호흡 보조

사각근은 주호흡근은 아니지만,

심호흡 시 흡기를 돕는다.

호흡이 어려운 경우

(예: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사각근이 과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각근 증후군(Scalene Syndrome)

사각근이 긴장하거나 비대해지면

쇄골하동맥(subclavian artery)과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을

압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팔의 저림,

통증, 혈류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운동과 스트레칭

사각근 스트레칭:

목을 반대 방향으로 기울이고,

반대쪽 손으로 부드럽게 눌러준다.

강화 운동:

저항 밴드를 이용하여

목 측면을 강화하는 운동이 있다.


사각근이 기능적으로

약해지면 나타나는 현상

사각근(Scalene muscles)이

약해지거나 기능이 저하되면

다양한 신체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목과 어깨 주변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신경 및 혈관 압박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 주요 증상

목의 안정성 저하 & 근육 불균형

사각근이 약해지면

흉쇄유돌근(SCM)과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이

과도하게 활성화된다.

 


이는 목과 어깨의 전방 머리 자세

(Forward Head Posture, FHP)를 초래한다.

장기적으로 거북목 증후군 및

경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목의 가동 범위 제한

사각근이 약해지면

측굴(Lateral flexion)과

회전(Rotation)의 범위가 감소한다.

특히, 한쪽만 약화되면

좌우 가동성이

불균형해질 수 있다.

호흡 기능 저하

사각근은 흡기

보조근으로 작용하는데,

약화되면 깊은

호흡이 어려워지고

흉식 호흡(Chest breathing)

패턴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횡격막(Diaphragm)이 약화되고,

과호흡(Hyperventilation)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흉곽 출구 증후군

(Thoracic Outlet Syndrome, TOS)

위험 증가

사각근이 약해지면서

주변 조직이 불안정해지면

쇄골하동맥(Subclavian artery)과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이

압박될 위험이 커진다.


그 결과 손 저림,

팔의 혈액순환 장애,

감각 저하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사각근 교정 운동 & 강화 운동

사각근을 활성화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운동을 추천.

1. 아이소메트릭(Isometric) 사각근 강화 운동

방법

벽이나 손에 머리를 가볍게 눌러 저항을 제공한다.

전방, 측방, 후방 방향으로 각각 실시한다.

효과

사각근의 기본적인 근력과 안정성 증가

거북목과 목 불균형 예방


 

2. 저항 밴드를 이용한 측굴 운동

방법

저항 밴드를 머리에 감고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반대쪽 사각근이

활성화되도록 힘을 주면서 버틴다.

효과

사각근과 측면 목 근육을 강화

목의 측굴 능력을 증가

 


3. 딥 브레싱(Deep Breathing) & 횡격막 호흡 훈련

방법

등을 대고 편하게

누운 상태에서

배를 부풀리며

코로 깊게 숨을

들이마신다.

입으로 천천히

숨을 내쉰다.

10회 반복하며,

어깨가 들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효과

사각근의 과사용 방지

흉식 호흡을 줄이고, 복식 호흡으로 전환


사각근 스트레칭

사각근이 긴장되면 목과

어깨 주변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트레칭이 중요하다.

1. 측굴 스트레칭

(Lateral Flexion Stretch)

방법

한 손을 머리 위쪽에 올리고

반대 방향으로 부드럽게 당긴다.

20~30초 유지 후

반대쪽도 실시한다.

2~3세트 반복한다.

효과

사각근 유연성 향상

목의 측굴 가동성 증가


2. 회전 스트레칭

(Scalene Rotation Stretch)

방법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턱을 아래로 내린다.

반대 손으로 가볍게

머리를 눌러 깊은

스트레칭을 유도한다.

20~30초 유지 후

반대쪽도 실시한다.

효과

사각근의 회전 기능 향상

목 주변 근육의 유연성 증가


📌 결론

사각근이 약해지면

목의 불균형, 호흡 저하,

흉곽 출구 증후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강화 운동으로

아이소메트릭 운동,

저항 밴드 운동,

호흡 훈련을 추천한다.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을 유지하고

긴장을 줄일 수 있다.

거북목과 흉곽 출구

증후군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운동과

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


 

반응형

'근육&뼈&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요근(Iliopsoas Muscle)  (0) 2025.04.21
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s)  (4) 2025.04.16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SCM)  (4) 2025.03.18
승모근(Trapezius)  (1) 2025.03.13
자세(Posture)를 보는 기준  (0)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