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시(Origin)
대원근은 어깨 뒤쪽에 위치한
두꺼운 근육으로,
견갑골(어깨뼈)의
하각(inferior angle)에서 기시합니다.
이 부위는 견갑골의
가장 아래쪽 끝부분으로,
견갑골 내측연(medial border)과
가까운 부분입니다.
대원근은 견갑하근(subscapularis)과
광배근(latissimus dorsi)과 밀접하게
붙어 있으며,
광배근의 바로 위쪽에서 기시합니다.
2. 정지(Insertion)
대원근은 상완골(humerus)의
결절간구(Intertubercular groove)
내측능선(medial lip)에 정지합니다.
이 부위는 상완골
전면에 위치한 좁은 홈으로,
광배근과 대흉근(pectoralis major)의
정지 부위와도 가까워
서로 협력하여
상완의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3. 기능(Function)
대원근의 주요 기능은
상완골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내회전(Medial rotation):
상완골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팔을 몸쪽으로
돌릴 때 이 기능이 작동합니다.
내전(Adduction):
상완골을 몸통 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팔을 옆으로 내릴 때나
몸 가까이 모을 때 작용합니다.
신전(Extension):
상완골을 뒤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담당합니다.
팔을 뒤로 뻗는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신경지배
견갑하 신경(lower subscapular nerve, C5-C7)
의 지배를 받습니다.
5.임상적 중요성
단축 시 팔의 굴곡, 외전, 외회전
제한을 유발하며,
테니스 서브나 저항성 동작 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배근과 함께
과도하게 발달하면
라운드 숄더(말린 어깨)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운동이 필요합니다.
대원근은 어깨 움직임의
핵심 근육으로,
기능적 이해가 재활 및
운동 프로그램 설계에 중요합니다.
6. 대원근과 주변 근육과의 협력관계
광배근(latissimus dorsi):
대원근과 비슷한 기능을 하며,
두 근육이 함께 작용해
강력한 내회전, 내전,
신전을 만들어 냅니다.
극하근(infraspinatus):
외회전(external rotation)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대원근과는 반대 기능을 수행합니다.
견갑하근(subscapularis):
내회전 기능에서
대원근과 협력합니다.
대흉근(pectoralis major):
내전 및 내회전 기능에서
일부 겹치는 역할을 합니다.
7. 트레이닝
강화 운동: 랫 풀다운, 로우, 체스트 프레스
등의 운동에서 대원근이 강하게 작동합니다.
특히 밴드를 사용한 내회전
운동이나 케이블 로우는
대원근을 직접 자극하기
좋은 방법입니다.
8.스트레칭
스트레칭: 팔을 머리 위로
뻗고 반대 손으로
팔꿈치를 잡아 당기는
스트레칭이 대원근을
효과적으로 늘려줍니다.




'근육&뼈&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모근(Trapezius) (1) | 2025.03.13 |
---|---|
자세(Posture)를 보는 기준 (0) | 2025.03.12 |
소원근(Teres minor) (1) | 2025.03.11 |
견갑하근(Subscapularis) (1) | 2025.03.10 |
대흉근(Pectoralis Major)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