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원근(Teres Minor)은 어깨 관절을
안정화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회전근개(rotator cuff)의
네 개의 근육 중 하나입니다.
비록 작은 근육이지만
어깨 외회전과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극하근(Infraspinatus muscle)과
밀접하게 협력합니다.
1. 기시(Origin)
견갑골(lateral border of the scapula)의
외측연(lateral border)입니다.
견갑골 외측연은
견갑골의 바깥쪽 가장자리로,
소원근이 시작하는 부위입니다.
이 부위는 극하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두 근육은 밀접하게 붙어 있어 같은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정지(Insertion)
소원근은 상완골(humerus)의
대결절(greater tubercle)의
하부 부위에 정지합니다.
대결절(greater tubercle)은 상완골 상부의
뼈 돌출 부위로, 회전근개 네 개의 근육이
각각 다른 위치에 부착되어
어깨의 안정화와 움직임을 조율합니다.
소원근은 대결절의 하부 부분에
부착되며, 극하근과 유사한
부착점을 공유합니다.



4. 기능(Function)
소원근은 어깨 관절에서
중요한 움직임과
안정화 역할을 수행합니다.
외회전(External Rotation): 상완골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동작에 기여합니다.
이 기능은 극하근과 협력해
어깨의 외회전을 원활하게 합니다.
견관절 안정화(Stabilization):
회전근개의 일부로서, 소원근은
상완골두(humeral head)가
견갑골의 관절와(glenoid cavity)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어깨의 다양한
움직임 중 탈구와 불안정성을 방지합니다.
약한 외전(Weak Adduction):
일부 연구에서는
소원근이 상완골의 약한 내전
(팔을 몸 쪽으로 당기는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고 보고되기도 합니다.
5. 신경지배(Nerve Supply)
소원근은 액와신경(Axillary nerve)의
지배를 받습니다.
액와신경(C5, C6)은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에서
나와 삼각근(deltoid muscle)과
소원근을 지배합니다.
액와신경의 손상 시
소원근의 약화와 함께
어깨 외회전 능력이 감소하고,
삼각근의 기능 이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6. 혈액 공급(Blood Supply)
소원근은 견갑하동맥(subscapular artery)의
가지인 순환견갑동맥(circumflex scapular artery)
에서 혈액을 공급받습니다.
견갑골 주변의 혈류는
어깨 관절과 회전근개의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 임상적 중요성(Clinical Relevance)
회전근개 손상(Rotator Cuff Tear):
소원근의 힘줄도
회전근개 손상의 일부로
찢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외상이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액와신경 손상(Axillary Nerve Injury):
어깨 탈구, 골절, 또는
수술 중 신경 손상이
발생하면 소원근의 기능 저하와
함께 어깨 외회전 약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 건염(Tendinitis):
반복적인
과사용으로 인해
소원근 힘줄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과 운동 제한을 유발합니다.
8. 강화 및 스트레칭
강화 운동: 저항 밴드를 사용한
외회전 운동,
덤벨을 이용한 회전근개
강화 운동이
소원근의 힘을 기르는 데
효과적입니다.
스트레칭: 어깨 외회전
스트레칭과 내회전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유연성과
부상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근육&뼈&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세(Posture)를 보는 기준 (0) | 2025.03.12 |
---|---|
대원근(Teres major) (0) | 2025.03.12 |
견갑하근(Subscapularis) (1) | 2025.03.10 |
대흉근(Pectoralis Major) (0) | 2025.03.04 |
근육과 뼈 (0) | 2025.03.01 |